미리내집 비아파트형 vs 아파트형 완벽 비교
신혼부부라면 누구나 한번쯤 서울시 미리내집 사업이라고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기존에는 아파트형 주택만 공급되었는데, 2025년부터 비아파트형이 새롭게 추가되면서 선택의 폭이 확대되었는데요. 비아파트형 vs 아파트형 과연 어떤 유형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이 많으실 텐데요. 오늘은 두 유형의 차이점을 자세히 비교해보겠습니다.
미리내집 비아파트형 VS 아파트형 기본 개념 차이
아파트형 미리내집은 기존의 장기전세주택Ⅱ로 불리던 형태로, 아파트 단지를 시세 50-60% 수준의 저렴한 가격에 공급하는 주택인데요. 반면 비아파트형 미리내집은 2025년부터 새롭게 도입된 유형으로, 다세대·연립주택·도시형생활주택·오피스텔 등을 매입해 공급하는 방식으로 주변 아파트 시세 대비 훨씬 저렴한 임차보증금이 큰 장점입니다.
구분 | 아파트형 | 비아파트형 |
---|---|---|
주택 유형 | 아파트 단지 | 다세대/연립/오피스텔/도시형생활주택 |
보증금 수준 | 시세 50-60% | 주변 아파트 시세 70-80% (반전세시 50% 가능) |
거주 기간 | 신혼부부 최장 10년 1자녀 출산시 최장 20년 | 출산시 10년 거주 후 아파트형으로 이주 지원 |
우선매수권 | 2자녀 출산시 획득 | 아파트형 이주 후 동일 조건 적용 |
입주 조건 및 자격 요건 상세
기본 자격 조건
입주자모집 공고일 기준 5년 이내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신혼부부(예비 신혼부부)로, 신청자 본인과 배우자 모두 현재 무주택자이며, 최근 5년 이내 주택을 소유한 이력 또한 신청자 본인과 배우자 모두 없어야 합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무주택세대구성원이어야 하며, 예비 신혼부부의 경우 입주 전까지 혼인신고를 완료해야 합니다.
소득 기준 (2025년 기준)
전용면적 | 일반 가구 | 맞벌이 가구 | 자녀 있는 가구 |
---|---|---|---|
60㎡ 이하 |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120% 이하 | 150% 이하 | 추가 우대 |
60㎡ 초과 | 도시근로자 월평균소득 150% 이하 | 200% 이하 | 추가 우대 |
자산 기준
자산은 금융기관, 부동산, 차량 등을 포함하여 평가하며, 신청자 본인과 배우자의 자산을 합한 세대 전체 자산이 기준을 초과하면 안됩니다. 구체적인 자산 기준은 공고 시점에 발표되는 기준을 따르게 됩니다.
혜택 및 인센티브
🏠 거주 기간 혜택
- 신혼부부: 기본 10년 거주 가능
- 1자녀 출산시: 최장 20년까지 연장 (아파트형)
- 2자녀 출산시: 우선매수권 부여로 내 집 마련 기회
- 비아파트형: 출산시 아파트형 이주 지원으로 주거 상향
💰 경제적 혜택
- 아파트형: 시세 50-60% 수준의 저렴한 보증금
- 비아파트형: 주변 아파트 시세 70-80% 수준 (반전세시 50% 수준)
- 관리비: 실비 수준으로 부담 최소화
- 대출 연계: 주택도시기금 대출 우선 지원
각 유형별 장단점 비교
👍 아파트형 장점
- 단지형 생활로 편의시설 좋음
- 교육환경 및 학군 접근성 우수
- 자녀 양육에 유리한 환경
- 재산가치 상승 가능성 높음
- 커뮤니티 시설 이용 가능
👎 아파트형 단점
- 높은 보증금 부담 (4억 이상)
- 정책 대출 활용 제한적일 수 있음
- 경쟁률이 상대적으로 높음
- 입주까지 상황에 따라 대기 기간 길어질 수 있음
👍 비아파트형 장점
- 낮은 보증금으로 부담 낮춤
- 정책 대출 활용 가능
- 신축 위주로 깨끗한 주거환경 누릴수 있음
- 출산시 아파트형 이주 기회 부여됨
- 아파트형에 비해 빠른 입주 가능성
👎 비아파트형 단점
- 단지형 편의시설 부족
- 주차, 관리 등 불편할 수 있음
- 교육환경 접근성 상대적 불리
- 커뮤니티 공간 제한적 사용 가능
선택 가이드 및 결론
신혼부부에게 있어, 생활공간을 마련하는데 가장 큰 걸림돌은 보증금이지요. 초기 자금 부담을 줄이고 싶다면 비아파트형을, 장기적인 자녀 양육 환경을 고려한다면 아파트형을 선택하는것이 좋을 듯 합니다. 특히 비아파트형은 출산 후 아파트형으로 이주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므로, 단계적으로 집을 키우고 싶으신 신혼부부에게 좋은 선택이 될 수도 있습니다.
미리내집은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아이낳고 살고싶은 주거공간을 제공하고, 자녀 출산 시 다양한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써 저출생을 극복하기 위한 서울시의 주택정책의 일환입니다. 본인의 경제 상황과 가족 계획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보고 우선순위가 무엇인지 정한 뒤, 선택을 하신다면, 더 나은 선택을 하실 수 있으시리라 생각됩니다.